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얻어가는 건강정보

자궁경부암 (HPV, 사람유두종바이러스)예방접종_가다실9가,가다실4가, 서바릭스2가 비교 및 접종횟수 등 총정리

안녕하세요 쏭제제입니다. 오늘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에 관한 이야기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흔히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으로 알고계신분들이 많죠?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균인 HPV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까지 설명드릴게요~

 

■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란?

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병원체 중 하나로, 지속감염 시 HPV 관련 암(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과 그 전암병변, 생식기 사마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증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HPV 감염시 임상양상

◦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이고 자연적으로 소멸
◦ 지속적인 HPV 감염은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전암병변, 항문 생식기의 사마귀와 호흡기에 생기는 유두종 병변 등을 일으킴
◦ HPV 16, 18은 자궁경부암 원인의 70%를 차지하며, HPV 6, 11은 생식기 사마귀 원인의 90%를 차지함
◦ HPV 감염 후 자궁경부 전암병변을 거쳐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는데 평균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림

 

■ HPV 치료

◦ HPV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음
◦ 치료는 HPV-관련성 병변의 치료에 집중됨. 자궁경부, 질, 외음부 전암병변과 생식기
사마귀에 대한 치료법은 냉동요법(cryotherapy), 전기지짐술(electrocautery),
레이저치료, 외과적 절제술 등 병변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음

 

■ 예방접종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통해 백신에 포함된 유형에 의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은 세가지 종류로,가다실(4가), 서바릭스(2가), 가다실(9가)가 있으며,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지원되는 백신은 가다실(4가), 서바릭스(2가) 두가지 종류입니다.

※ 단, 2회 접종으로 종료되는 연령(백신별 상이)의 경우, 2차 접종이 지연되더라도 총 2회 접종으로 완료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시에는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합니다. 2가지 HPV 백신을 교차해 사용할 때의 안전성, 면역원성, 효능에 관한 연구자료는 제한적입니다. 2가 및 4가 백신은 특성, 성분, 적응증, 사용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매회 접종에는 가능한 동일한 백신을 사용해야 합니다.

 

■ 예방접종 후 부작용(드문경우지만 실신 주의!!!)

국가예방접종으로 진행이 되면서 부모님들이 가장 우려 했었던 부분 중 하나가 부작용이었을겁니다. 가장 흔한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며 부종과 발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전신 이상반응으로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매우 드물게 백신 접종 후 특히 청소년 및 젊은 성인들에서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의식 소실 후 넘어지며 외상 등의 이차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HPV 백신 접종 후 20~30분간 피접종자를 면밀히 관찰하여야합니다. 또한, HPV 백신 피접종자에게서 기관지 경련이 심각한 이상반응으로 보고되었습니다.

WHO GACVS meeting(’17.6월)에서 HPV 백신은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이 백만도즈 당 약 1.7건이고, 실신의 경우 주사에 대한 불안 또는 스트레스 관련 반응입니다. 이외 다른 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HPV 백신은 매우 안전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26세가 넘은 사람이 맞아도 효과가 있나요?

현재 허가된 HPV 백신 접종연령은 만 9~26세입니다. 26세 이후 여성에서 암예방 효과는 입증되지않았으나 26세 이상이더라도 성생활을 시작하지 않았거나 HPV 노출기회가 적은 여성의 경우는 이론적으로 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남자도 반드시 접종해야 하나요?

4가 백신의 경우 HPV 16과 18이 관련되는 음경암, 구강암, 구인두암, 항문암 및 HPV 6과 11이 관련하는 생식기 사마귀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만 9~26세 남성에게 접종할 수 있습니다.  HPV가 광범위한 피부 점막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남성이 가진 바이러스를 성생활을 시작하면서 여성에 전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에게는 위협적인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26세이하 남성이 성 생활을 시작하기 전 접종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단, 남성 HPV 백신 접종에 대한 질병 예방효과는 여성 피접종자의 자궁경부암예방 효과만큼 높지 않으며, 현재로서는 남성 피접종자에서의 질병 예방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 임산부가 맞아도 되나요?

HPV 백신 임상시험 대상자들에서 임신부는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접종자에서 임신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의 임신 결과를 평가하였을 때 기형을 비롯한 태아 안전성은 접종군과 대조군 사이에 의의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HPV 백신접종과 관련된 태아 안전성이 충분히 평가된 것이 아니므로 임신부에게는 HPV 백신 접종을 하지 않으며, HPV 백신 접종은 임신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연기되어야 합니다.

 

■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사업

2020년 기준 만 12세 여성 청소년(2020 기준, 2007 ~ 2008년 출생자)을 대상으로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은 성장발달과 초경에 대한 의사선생님과의 1:1 상담을 통해 사춘기 여성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oma Virus, HPV) 감염증 예방접종을 통해 HPV 감염으로 인한 자궁경부암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전국 보건소 및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건강상담과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방문하셔야 하며 동행이 어려운 경우 접종 전 의사선생님과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및 이상반응에 대해 유선상으로 충분한 설명을 받으세요. 또한 동의서를 미리 다운받아 작성해서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로 가셔야 합니다.

HPV 예방접종 동의서식 모음.zip
1.20MB


여성에게는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는 HPV 예방접종! 우리 꼬마 숙녀들부터 26세 전 여성, 남성분들께서는 눈여겨보시고 미리 예방접종하시고 건강챙기세요^^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